무등산서 여러 멸종위기종 포착, 수달 독수리 하늘다람쥐 삵 담비 등

INGO-GECPO | 기사입력 2020/11/05 [10:15]

무등산서 여러 멸종위기종 포착, 수달 독수리 하늘다람쥐 삵 담비 등

INGO-GECPO | 입력 : 2020/11/05 [10:15]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이사장 권경업)은 올해 1월부터 최근까지 무등산국립공원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수달을 비롯한 다양한 멸종위기종이 무인관찰카메라에 잇따라 포착됐다고 밝혔다.

무등산은 2013년 3월 4일 도립공원에서 국립공원으로 승격·지정됐으며, 국립공원공단은 그간 훼손지 복원, 자연자원 조사 등 야생생물 서식지 보전과 생태계 건강성 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무인관찰카메라에 포착된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Ⅰ급 수달과 Ⅱ급 독수리, 하늘다람쥐, 삵, 담비, 수리부엉이, 참매이다.

특히, 하천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인 수달은 무등산국립공원 깃대종으로 물가의 나무뿌리 혹은 계곡의 바위틈을 보금자리로 이용하며, 수생태계의 건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지표종이다.

※ 지표종(Indicator species): 특정한 지역이나 서식지에서 기후, 토양, 그 외의 다른 조건들을 특징지을 수 있는 생물종

수달은 화순군 무동제 지역 인근의 무인관찰카메라에 포착됐으며, 여러 마리가 무리를 지어 먹이 활동과 배설하는 모습 등이 담겼다.

촬영된 영상에서 독수리는 우리나라를 찾아오는 가장 큰 맹금류답게 위용이 넘치는 모습과 땅에서 어기적거리며 이동하는 상반된 모습을 보였다.

그 외에도 꿩 사냥을 시도하는 어미와 새끼 삵, 물을 마시는 담비, 인공둥지를 확인하는 하늘다람쥐, 휴식을 취하고 있는 수리부엉이, 물을 마시고 있는 참매 등 다양한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활동 모습이 포착됐다.

이재동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동부사무소장은 "이번에 촬영된 영상은 무등산이 우수한 생태계 건강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라며, "무등산이 호남지역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보금자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1. 멸종위기 야생생물 설명자료.

구 분

주 요 내 용

종명(학명)

수달(Lutra lutra)

보호현황

멸종위기 야생생물

개요

족제비과 포유류 중 대형

형태특성

성체의 경우 몸통길이 650~1,100mm, 꼬리의길이 300~500mm, 뒷다리의 길이 118~134mm, 귀의 길이 23~28mm이다. 몸은 수중 생활을 하기 알맞게 다리는 짧고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다. 몸 전체에 털이 빽빽하게 나 있고, 송곳니가 발달되어 있다.

생태특성

수계와 육지를 이용하며 하천 물가나 호숫가 주변의 바위구멍이나 나무 뿌리 및에 구멍을 파고 산다. 야행성이며 서식하는 환경에 따라 어류, 포유류, 양서류, 갑각류까지 다양한 먹이를 이용한다. 교미는 1-2, 임신기간 60-70, 한 번에 새끼 1~4마리를 낳는다.

분포.

서식현황

우리나라 전국에 서식하는 분류학적 수달(Lutra lutra)은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가에 분포하고 있다.

구 분

주 요 내 용

종명(학명)

담비(Martes flavigula)

보호현황

멸종위기 야생생물

개요

식육목 족제비과 포유류

형태특성

성체의 경우 몸통의 길이는 590~680mm이고, 꼬리의 길이는 400~450mm, 귀 길이 35~50mm이다. 몸통은 가늘고 길며 꼬리는 몸통 길이의 3분의 2정도 이다. 겨울털은 흑갈색, 목은 백색, 가슴은 금빛을 띤 황색, 등의 앞 부분은 황색, 등의 앞부분은 황색 털이 섞여있는 흑갈색, 다리와 꼬리는 검은색이다.

생태특성

항문선에서 나오는 분비물로 자신의 세력권을 표시한다. 잡식성으로 포유류, 조류, 과실, 도토리등을 먹는다. 발정기는 여름이며, 임신기간은 6개월 정도이고, 새끼를 3-5마리 낳는다. 2~3마리씩 무리지어 산다.

분포.

서식현황

전국 내륙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수단, 중국, 인도네시아, 파키스탄, 러시아, 타이완, 베트남에 분포한다.

구 분

주 요 내 용

종명(학명)

(Prionailurus bengalensis)

보호현황

멸종위기 야생생물

개요

식육목 고양이 속의 포유류

형태특성

성체의 경우 몸통길이 450~550mm, 꼬리 길이 250~320mm, 귀의 길이는 33~42mm, 뒷발의 길이는 10~122mm이다. 황갈색의 뚜렷하지 않은 반점이 세로로 배열되어 있다. 털색은 황색 혹은 황갈색이며 흑갈샐 무늬 두줄과 뮌색 무늬가 이마에서부터 코 양 옆까지 이어진게 특징이다. 몸은 수중 생활을 하기에 알맞게 다리는 짧고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있다. 몸 전체에 털이 빽빽하게 나 있고, 송곳니가 발달되어 있다.

생태특성

먹이습성은 설치류, 조류, 곤충 등 다양하게 잡아 먹는 것으로 얄려졌고, 우리나라에서 연구된 바에 의하면 설치류를 가장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교미시기는 2-3월이며 60일 정도의 임신기간을 거쳐 2-3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분포.

서식현황

산림, 계곡, 연안, 관목지역 등 전국적으로 분포하나 제주도에서는 1985년 이후 자취를 감췄다.

구 분

주 요 내 용

종명(학명)

하늘다람쥐(Pteromys volans)

보호현황

멸종위기 야생생물

개요

설치목 청설모과의 포유류

형태특성

체중 80~120g, 머리와 몸통 길이 146~163mm, 꼬리 길이 97.5~121mm, 귀의 길이 18~21mm이다. 등은 엷은 회색계통과 갈색계통이 있다. 겨울철 털은 엷은 색으로 변하며, 은회색에 가깝다. 앞발과 뒷발 사이에 피부막이 발달한 비막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생태특성

야행성 소형 포유류로 나무 사이를 활공해 이동하는 특성이 있다. 나무 껍질, , 종자, 과실 등을 취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번식은 1년에 1회 내지 2회에 걸쳐 이루어지며, 새끼를 2~6마리 낳는다

분포.

서식현황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내륙에 서식하며, 세계적으로는 유라시아 대륙 북부, 중국 북부, 사할린, 일본에 분포한다.

구 분

주 요 내 용

종명(학명)

독수리(Ageypius monachus)

보호현황

멸종위기 야생생물

개요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조류

형태특성

동절기 우리나라에 찾아오는 맹금류 중 가장 큰 종으로 몸길이 1~1.1m, 날개 편 길이 2.5~3m이다. 몸 색깔은 전체적으로 검은 색을 띄며 나이가 들수록 색이 옅어져 갈색으로 된다. 머리는 피부가 드러나 회갈색으로 보이며 어린 개체는 검은색에 가깝다.

생태특성

일반적으로 단독 혹은 쌍으로 생활하나 겨울철애는 5-6개체 가량의 작은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 사냥은 거의 하지 않고 동물의 사체등을 먹는다. 소화되지 않는 먹이는 펠릿(Pellet)으로 토해낸다. 알은 2~3월 사이에 1~2개를 낳으며 포란기간 54~56, 육추기간 104~120일이다. 성체가 되는데 6~7년이 걸린다.

분포.

서식현황

우리나라에서는 번식하지 않으며 중앙아시아의 초원지대, 고산지대에서 생활한다. 최근에는 개체군 규모의 증가와 함께 분포가 남부지방까지 확장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구 분

주 요 내 용

종명(학명)

참매(Accipiter gentilis)

보호현황

멸종위기 야생생물

개요

매목 수리과에 속하는 조류

형태특성

암수 형태가 유사하며, 흰색 굵은 눈썹선과 두꺼운 검은색 눈선, 노란색 홍채가 특징이다. 가슴과 배에는 흰색에 흑갈색 가는 가로줄 무늬가 있다. 날개는 짧으며 폭이 넓고, 날 때 보이는 긴 꼬리가 특징이다.

생태특성

번식기에는 비교적 깊은 산림에 서식하며, 암수 함께 행활하거 단독으로 생활한다. 먹이는 주로 날아다니는 조류를 추적해 잡아먹으며 토끼, 청설모, 다람쥐 같은 작은 포유류도 먹는다. 5~6월경 옅은 푸른색의 알을 2~4개 낳는다.

분포.

서식현황

전국에서 겨울에 흔히 관찰되고 번식하며, 이동시기에는 서해 도서지역에서 많이 관찰된다. 세계적으로는 일본, 유럽, 중국, 북아메리카,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구 분

주 요 내 용

종명(학명)

수리부엉이(Bubo bubo)

보호현황

멸종위기 야생생물

개요

올빼미목 올빼미과에 속하는 조류

형태특성

몸길이는 약 70cm이며 올빼미과의 조류 중 몸이 가장 크고 귀깃도 길다. 눈은 주황색을 띤 노락색이다. 머리 꼭대기에서 목 뒤까지 그리고 등과 날개 덧깊은 황갈색 바탕에 검은색과 진한 갈색 세로줄무늬가 있다. 가슴, 배의 세로줄무늬는 아래로 내려갈수록 점점 좁아진다.

생태특성

수변이 인접한 암벽 지대나 바위산에서 주로 서식하며, 무리를 짓지않고 단독으로 생활한다. 야행성이지만 낮에도 활동한다. 둥지를 만들지 않고 암벽의 선반처럼 생긴 곳, 바위틈, 바위 평평한 곳을 찾아 2~3개의 흰색 알을 낳는다. 포란기간은 34~36일이다.

분포.

서식현황

전국에 서식하고 세계적으로는 구북구 전역, 북아프리카에 분포한다.

2. 현황사진.

묶음 개체입니다.

묶음 개체입니다.

수달(2020. 1. 24. 촬영)

수달(2020. 5. 14. 촬영)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7249c0002.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20pixel, 세로 1080pixel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7249c0003.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20pixel, 세로 1080pixel

독수리(2020. 3. 14. 촬영)

담비(2020. 1. 26. 촬영)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7249c000d.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920pixel, 세로 1080pixel

묶음 개체입니다.

(2020. 8. 30. 촬영)

하늘다람쥐(2020. 1. 26. 촬영)

묶음 개체입니다.

묶음 개체입니다.

참매(2020. 3. 2. 촬영)

수리부엉이(2020. 7. 9. 촬영)

2020-11-04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사무소


원본 기사 보기:GECPO-Green News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