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균성질병 예방 위한 식물경구백신

[기고] 10년간 상당한 연구결과 가능성 확인 및 실용화 단계

노재경 | 기사입력 2010/12/13 [09:38]

세균성질병 예방 위한 식물경구백신

[기고] 10년간 상당한 연구결과 가능성 확인 및 실용화 단계

노재경 | 입력 : 2010/12/13 [09:38]
 식물체를 이용하여 기존의 백신이 가지고 있는 여러 단점을 극복하고자 식물 경구 백신을 생산하려는 연구들이 10여 년 동안 많이 진행되었으며, 동물실험을 통하여 특이 항원에 대한 특이 항체가 유도됨이 증명되었고 공격 접종 실험에서 생존력 향상을 가져온다는 결과가 여러 연구자에 의해서 밝혀졌다. 또한, LTB와 HBsAg 등은 인체를 통한 임상 1단계에서 성공적인 연구 결과는 식물 경구 백신의 현실적 가능성과 실용화에 한층 다가섰다.

더욱 안전하고 저렴한 단위 백신을 생산하고자 담배를 비롯하여 감자, 콩, 옥수수, 당근, 토마토, 시금치 등 다양한 식물체에서 형질전환체를 얻는 데 성공하였다.
 
현재 식물 경구 백신 생산 연구는 비교적 항원 구조가 간단한 바이러스 질병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복잡한 항원 구조로 되어 있는 미생물에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enterotoxin(LT, CT, PA, Lkt66, TetC) 이나 미생물의 부착에 필요한 부착성 단백질(K88ac, K99)들을 이용해 왔다.
 
앞으로는 다양한 미생물의 항원(예, pili, surface protein, flagella, 감염 숙주에 따른 다른 adhesion protein, 감염균에 따른 다른 enterotoxin 등)의 개발이 필요하고 복잡한 구조의 항원들의 식물체 내 발현을 위해 IRES를 이용한 벡타 시스템 응용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경구백신으로 사용되는 재조합 단백질의 위장 내 분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발현량 증대를 위해 plastid의 발현 시스템과 발현 시스템의 최적화 연구가 요구되며 실용화를 위한 다양한 작물에서 형질전환 기술의 발전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적인 연구 이외에 현재 식물 경구 백신의 상용화의 문제점으로 크게 대두하는 점은 백신 학자들이 주장하는 장내에서 일어나는 food tolerance에 대한 정확한 기작 연구에 대해서 주의를 필요로 하며 연구가 돼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구강 저항성(oral tolerance)에 대한 실례로 ovalbumin을 과량 투여하면 항체가 유도되지 않은 결과도 있다. 만약 경구 백신으로 섭취된 항원들이 이러한 문제점을 일으킬 경우, 병원균의 침입 시 생체 내에서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포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주사용으로 사용의 검토가 필요하며, 초기 면역 반응이 유도된 동물이나 인체에 면역 반응 유도증가를 위해 최소한의 농도를 경구 투여 후 증가한 항체를 유도하는 방법으로도 사용을 고려될 수 있다고 전망된다.   


/한범수(농촌진흥청 기능성물질개발과)




  • 도배방지 이미지

백신, 식물경구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