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나 죽어야 청소년에 관심 가질까?

[칼럼] 전시행정에 미봉 그만, 그들 외침에 먼저 귀 기울여야...

이영일 | 기사입력 2012/01/09 [09:26]

얼마나 죽어야 청소년에 관심 가질까?

[칼럼] 전시행정에 미봉 그만, 그들 외침에 먼저 귀 기울여야...

이영일 | 입력 : 2012/01/09 [09:26]
학교폭력으로 신음하다 자살하는 청소년이 속출하면서 온 국민의 마음이 비맞은 신문지처럼 슬픔으로 젖어있다. 지나가는 말로 ‘죽을 용기 있으면 그 용기로 살지’하며 안타까움을 토로하던 수준을 넘어 이정도까지 우리 아이들이 아파하고 있었는지 몰랐다는 탄식과 자성의 울컥거림이 가해 청소년들을 향한 분노로 표출될 정도다.

학교폭력에 대한 위험성과 그 심각성은 지난 2005년 흥사단교육운동본부 정세영 위원이 '전국 일진 40만' 추산을 경고하면서 이미 예견된 일이었다. 아이들은 그때부터, 그 이전부터 훨씬 더 많은 고통과 폭력에 노출되어 있었을지 모른다. 도대체 우리 학교가 어떻게 운영되고 관리되고 있길래 아이들이 죽어나갈 때까지 상황 파악도 못하는 것인지 통탄스러울 정도다. 
 
'전국 일진 40만' 알기나 한가?

친구들끼리 서로를 존중하고 청소년의 인격과 인성의 소중함을 함께 느끼며 이 사회의 건강한 주인공으로서 그들을 대접하는 문화가 학교에 없다는 것을 연이은 청소년의 죽음을 통해 확인하면서, 소위 교육주체라는 곳들의 평소 행보도 새삼 분통을 자아낸다.

▲ 학교폭력이 심각한 수준에 와있다. 형사들을 하교시간에 학교에 보낸다는 헛웃음 나오는 조치가 아니라 청소년유해환경감시단의 적극적 활동 추동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모든 경우는 아니겠지만, 우리 공무원 사회는 장관부터 말단까지 무슨 일이 터져야 평소 거들떠보지도 않던 곳에 예산을 배정하고 대책을 마련하는 행태가 분명 존재한다. 학교나 교육당국은 일만 터지면 축소하고 의미를 폄하하여 숨기기에 바쁜 모습을 보인다. 솔직히 우리 정부와 지자체, 교육당국이 청소년에 얼마나 애정을 갖고 그들의 고통과 아픔을 보듬어 주려는 진지함을 보였는가.

이제 우리가 잠시 외면하고 있었던 청소년들과 청소년정책에 근본적인 관심과 지원을 마련해야 한다. 그들의 외침을 진정 우리 사회가 포용하고 감싸왔는지 자성과 심기일전이 필요하다. 형사들을 하교시간에 학교에 보낸다는 헛웃음 나오는 조치가 아니라 청소년유해환경감시단의 적극적 활동 추동이 필요하다. 

전국 곳곳에 위치한 청소년상담복지센터도 학교내에서는 할 수 없는 아이들의 말을 들어주고 아픔을 보듬어줄 수 있는 소중한 공간이기에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청소년단체와 청소년수련관의 중요성도 새삼 강조되고 재조명되어야 한다.
 
하교시간에 형사를 보낸다가?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학교의 결단과 태도다. 우리 사회의 모든 어른들이 청소년의 죽음에 책임이 있지만 가장 자성하고 반성해야 할 곳은 바로 교육당국이고 학교다. 교권이 추락되어 학교폭력을 막을 수 없다는 말보다, 요새 아이들은 학교와서 잠만 자고 통제도 안된다는 한탄보다, 학교를 그저 학과목이나 가르치고 가해자나 피해자나 폭력으로 물드는 공포스러운 공간이라면 그런 학교를 우리 청소년들에게 뭐하러 다니라 할 것인가에 대한 물음의 답부터 찾아야 할 것이다. 


경희대NGO대학원에서 NGO정책관리학을 전공했다. 대학 재학 시절 총학생회장과 문화일보 대학생 기자로 활동했고, 시민의신문에서 기자 교육을 받은 후 한겨레전문필진, 동아일보e포터, 중앙일보 사이버칼럼니스트, 한국일보 디지털특파원, 보도통신사 뉴스와이어의 전문칼럼위원등으로 필력을 펼쳤다. 참여정부 시절 서울북부지방법원 국선변호감독위원, 대통령직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무총리실 삼청교육피해자보상심의위원등 다양한 민간위원을 역임했다. 2015년 사회비평칼럼집 "NGO시선"과 2019년 "일본의 학교는 어떻게 지역과 협력할까"를 출간했고 오마이뉴스 등 각종 온오프라인 언론매체에서 NGO와 청소년분야 평론가로 글을 써오고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

청소년 정책 학교폭력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