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두박질 치는 시민단체 1호, 서울YMCA”

112년 역사의 NGO, 비민주성과 투명성 훼손 논란으로 내분 휩싸여

이영일 | 기사입력 2015/12/26 [10:29]

“곤두박질 치는 시민단체 1호, 서울YMCA”

112년 역사의 NGO, 비민주성과 투명성 훼손 논란으로 내분 휩싸여

이영일 | 입력 : 2015/12/26 [10:29]
112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NGO의 1세대 맏형뻘인 서울YMCA가 검찰 고발, 감사 제명, 보복성 인사 논란 등으로 진통을 겪고 있다. 사건의 발단은 서울YMCA가 2008년 고위험 ELS(주가연계파생결합증권)상품에 30억원을 투자한 것부터 시작된다.

당시 서울YMCA 이사회는 이사회의 의결과 주무관청의 허가를 받지 않았다는 주장이 나왔고 이것이 불법 투자라는 것. 남은 돈은 18만여원. 2014년 기준으로 이자는 물론 원금까지 고스란히 날렸을 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로서는 있을 수 없는 공사대금 부풀리기, 특정 기업에 일감 몰아주기 등이 자행되는 등 도덕성과 투명성에 의혹이 있고 이사진이 십수년간 장기 집권을 하며 민주성을 훼손되어 이를 방치할 수 없다는 것이 핵심이다. 

▲ 극심한 내홍을 겪고 있는 서울YMCA. 홈페이지는 평온한 상태다.     © 이영일
 
이에 서울YMCA 심규성 감사를 중심으로 2008년 당시 ELS 투자를 주도한 관련자들을 업무상 배임으로 검찰에 고발, 수사가 시작됐다. 심 감사가 내부고발자가 된 셈. 당시 투자를 주도했던 현 안창원 회장의 사퇴도 포함됐다. 그러자 이사회는 심 감사를 제명하고 안 회장의 퇴진을 요구하는 직원들을 좌천시켰다. 이 과정에 또 심 감사의 제명안건이 이사회 과반 득표도 얻지 못해 무효라는 지적이 나왔다. 한마디로 지금 서울YMCA는 흡사 극심한 내전이 치러지고 있는 형국이다.

이 내홍의 중심에는 비영리민간단체, 시민사회단체인 서울YMCA가 마치 사학집단의 비리와 유사한 형태로 사유화된 점도 간과할 수 없다는 지적이 대세다. 지금은 명예이사장으로 있는 표용은 명예이사장은 40여년간 이사를 지내며 18년간 이사장을 맡았고 안창원 회장은 조카 관계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산규모도 1조원 정도로 무시못할 재정 규모를 형성하고 있다. 단체 사유화와 재단 비리라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여기에 있다.

서울YMCA의 이같은 비민주성과 투명성 문제는 한두번이 아니다. 서울YMCA는 10년전인 지난 2005년, 여성회원들의 참정권을 인정하지 않아 비난을 샀고 2007년도에 한국YMCA전국연맹과 세계YMCA 연맹으로부터 제명된바 있다. 구한말 황성기독교청년회를 시작으로 우리나라의 계몽운동과 근대화운동, 청소년운동, 민주화운동에 큰 족적을 남겨 온 YMCA의 명예가 곤두박질치고 있는 것.

지금 서울YMCA는 100년전만도 못한 초라하고 한심한 모습으로 민주성은 물론 무능력한 경영능력에 도덕성과 투명성마저 추락하고 있다. 일제 탄압하에서 2·8 독립선언, 3·1운동을 주도했을뿐 아니라 생활체육운동의 발상지, 시민운동의 핵심이었던 서울YMCA.

NGO가 거대화되어 관료화되고 그 사명과 신념을 망각했을 때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지, 아이러니하게 우리나라 1호 시민사회단체인 서울YMCA가 안타깝게도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경희대NGO대학원에서 NGO정책관리학을 전공했다. 대학 재학 시절 총학생회장과 문화일보 대학생 기자로 활동했고, 시민의신문에서 기자 교육을 받은 후 한겨레전문필진, 동아일보e포터, 중앙일보 사이버칼럼니스트, 한국일보 디지털특파원, 보도통신사 뉴스와이어의 전문칼럼위원등으로 필력을 펼쳤다. 참여정부 시절 서울북부지방법원 국선변호감독위원, 대통령직속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자문위원, 국무총리실 삼청교육피해자보상심의위원등 다양한 민간위원을 역임했다. 2015년 사회비평칼럼집 "NGO시선"과 2019년 "일본의 학교는 어떻게 지역과 협력할까"를 출간했고 오마이뉴스 등 각종 온오프라인 언론매체에서 NGO와 청소년분야 평론가로 글을 써오고 있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