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5개 권역별로 시립도서관 2025년까지 건립, 구립 66개도

배윤주 기자 | 기사입력 2019/08/18 [11:18]

서울 5개 권역별로 시립도서관 2025년까지 건립, 구립 66개도

배윤주 기자 | 입력 : 2019/08/18 [11:18]

연면적 9,000㎡ 중규모 이상… 대상지 특성 반영해 주제별 전문·특화 도서관으로

인문·사회과학(동북) 디지털·미디어(서북) 창업·비즈니스(서남) 과학·환경(서남) 공연·예술(동남)


서울의 정보·문화 균형발전을 앞당길 5개 권역별 시립도서관 건립계획이 구체화됐다.

서울시는 총 3,100억 원(부지비용 포함)의 예산을 투입해 서남권 2개소(강서, 관악), 동북권(도봉)· 동남권(송파)·서북권(서대문)에 각 1개소를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건립할 계획이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현재 유일한 시립도서관인 ‘서울도서관’이 본관이라면 새로 건립될 5개 권역별 시립도서관은 서울시 도서관 네트워크의 대동맥에 해당하는 분관 역할을 수행한다.

생활밀착형 공공도서관 인프라의 실핏줄 역할을 할 구립도서관(66개)과 작은도서관(195개)도 새롭게 확충, 2025년 각각 216개, 1,200개관까지 늘린다. 이렇게 되면 서울의 도서관 네트워크는 현재 1,178개관에서 1,444개관으로 더 촘촘하게 완성돼 시민 누구나 집 가까운 곳에서 양질의 정보와 문화를 누릴 수 있게 된다.

5개 권역별 시립도서관은 단순히 책만 읽는 ‘공부방’이 아닌, 책을 매개로 지역 주민들이 만나고 토론하고 전시·공연을 즐기는 복합문화공간이자 창작·연구공간, 사랑방 역할을 부여해 도서관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 서울시 제공


특히, 각 도서관은 지역의 특성과 수요를 반영해 체코 ‘자연과학도서관’, 뉴욕 ‘과학·산업·비즈니스 도서관’ 같은 특화 전문도서관으로 건립된다.


예컨대, 서남권은 서울식물원과 다수의 근린 생태공원이 입지한 특성을 살려 체험·교육 중심의 ‘과학·환경 도서관’이 조성된다. 디지털미디어 관련 기업과 주요 방송사가 밀집한 서북권에는 디지털기술의 집약소와 같은 ‘디지털·미디어 도서관’이 들어선다. 전국 최다 대학이 밀집한 동북권은 ‘평생학습 중심 도서관’이 건립된다.

▲ 서울시 공공도서관당 서비스 인구 및 1인당 서비스 도서수 서울시 제공


서울에 있는 총 1,178개 도서관 가운데 서울도서관이나 국립중앙도서관 같이 도심에 있는 주요 도서관을 제외하면 대다수는 소규모 도서관이다. 이런 규모의 한계로 집에서 가까운 도서관에서는 전문서적을 구하기 어렵거나 강의·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국내 도서관 인프라는 주요 OECD 국가에 비해 여전히 열악한 상황이다. 서울의 공공도서관당 서비스 인구는 56,449명으로, 미국의 1.6배, 영국의 4배 수준이다. 특히 서남권, 서남권, 동북권은 서울시 평균보다도 높아 지역 간 편차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5개 권역별로 건립될 시립도서관은 ①동북권 ‘인문·사회과학 도서관’(도봉구 방학동 부지) ②서북권 ‘디지털·미디어 도서관’(서대문구 가재울뉴타운 부지) ③서남권 ‘과학·환경 도서관’(강서구 내발산동 부지) ④서남권 ‘창업·비지니스 도서관’(관악구 금천경찰서 부지) ⑤동남권 ‘공연·예술 도서관’(송파구 위례택지지구 내)이다.

도심권은 타 권역에 비해 문화 인프라가 갖춰진 만큼, 분관을 건립하는 대신 기존 ‘서울도서관’이 권역 도서관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서남권의 경우 타 권역에 비해 지리적 범위가 넓어 2개 관을 건립하기로 결정했다.

건립 대상지(4층 이하 연면적 9,000㎡ 내외 건립 가능대지)는 25개 자치구에 수요조사(’18.11.)를 실시, 17개 자치구 희망 대상지와 서울도서관이 자체 발굴한 대상지(8개소)를 포함해 총 25개소를 심사해 결정됐다.

동북권 ‘인문·사회과학 도서관’ 선정된 대상지는 현재 도봉 청소년독서실로 사용되고 있는 부지(도봉구 방학동 713-13)로 방학역과 가깝고 주요 노선 15개가 지나는 버스정류장 위치해 대중교통을 이용한 접근성이 뛰어난 것이 가장 큰 강점이다.

서북권 ‘디지털·미디어 도서관’ 건립 선정지는 서대문구 중심부 근린공원 내 부지(서대문구 북가좌동 479)로 주변 지역이 대규모 아파트 단지로 둘러싸여 지속적인 인구증가가 예상되는 곳이다.

서남권 ‘과학·환경 도서관’ 선정지는 주변에 문화시설이 부족한 SH공사 소유 나대지(강서구 내발산동 743)로, 사전절차 이행 즉시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

서남권 ‘창업·비즈니스 도서관’ 선정지는 구)금천경찰서 부지(관악구 신림동 544)로 서울시 소유 부지로 서남권역 중심부에 위치하였으나, 문화시설 부족지역으로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대상지로 선정됐다.

동남권 ‘공연·예술 도서관’은 대규모 개발이 진행 중인 송파구 위례택지지구 내(송파구 장지동 893) 건립 예정이다. 신도시 초기 문화·공공시설 부족현상을 해소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함께 모든 시민들이 집에서 도보 10분 거리 이내에서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2025년까지 1,252억 원을 투입해 구립도서관 66개관을 추가 건립한다. 공공 건립의 작은 도서관도 1,005개에서 1,200개까지 확충한다.

도서관 서비스도 혁신한다.
2018년 기준 시민 1인당 1.43권이었던 장서수도 2025년 이후 1인당 2.4권으로 늘려(미국, 영국, 일본, 프랑스, 독일 선진 5개국 평균 : 2.4권) 시민의 도서관 장서 확충에 대한 욕구를 선진국 수준으로 충족할 전망이다.


원본 기사 보기:휴먼뉴스

  • 도배방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