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이 주의해야 할 질병, 30대엔 갑상선 40대엔 빈혈

김쥬니 기자 | 기사입력 2019/03/08 [10:26]

여성이 주의해야 할 질병, 30대엔 갑상선 40대엔 빈혈

김쥬니 기자 | 입력 : 2019/03/08 [10:26]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사평가원’)은 3월 8일(금) ‘세계 여성의 날’을 맞이하여, 여성이 주의해야 할 질병의 진료현황을 분석했다.


심사평가원은 2018년 자료로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진료를 받은 질병 ▲주요 다빈도 여성 질병 순위를 바탕으로, 그중 일부 질병에 대해 세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18년 1년 동안 의료기관에서 진료를 받은 여성 환자수는 2,472만 5205명, 내원일수는 8억 8787만 2338일로 2009년 대비 각각 연평균 0.7%, 1.8% 증가했다.


2009년 여성의 진료현황과 비교해 보면, 1인당 내원일수는 33일에서 36일로 3일 증가(연평균 1.1%), 1인당 진료비는 90만7621원에서 169만4713원으로 증가(연평균 7.2%)했다.


[표1] 연도별 성별 진료현황

(단위: 천 명, 천 일, 억 원, 일, 원)

구분

여성

남성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1인당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1인당

내원일수

진료비

내원일수

진료비

2018

24,725

887,872

419,021

36

1,694,713

23,829

679,539

360,120

29

1,511,264

2009

23,301

758,990

211,486

33

907,621

22,191

570,294

182,809

26

823,789

연평균 증감률

0.7%

1.8%

7.9%

1.1%

7.2%

0.8%

2.0%

7.8%

1.2%

7.0%

 


2018년과 2009년의 여성 환자수 기준으로 다빈도 상병 상위 30위를 비교해보면, 상위 30위 내 대부분의 질병은 큰 변화가 없었다.


다만, ‘2형 당뇨병’, ‘자궁경부의 염증성 질환’, ‘지질단백질 대사장애 및 기타 지질증’이 눈에 띄게 환자수가 증가해 상위 30위 안에 들었고, ‘천식’, ‘백선증’ 은 환자수가 감소하여 상위 30위 아래로 나타났다.


※ 2018년 여성 환자수 기준 다빈도 상병 상위 30순위 [참고3] 참조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진료를 받는 질병


< 갑상선 관련 질병 >


갑상선은 목 앞쪽에 나비모양으로 생긴 호르몬 분비기관으로, 갑상선호르몬은 체온 유지와 신체 대사의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호르몬이 너무 많거나 적게 분비되면 신진대사에 이상이 생긴다.


이러한 갑상선호르몬 생성 저하‧과다 및 갑상선내 악성 신생물 등 ‘갑상선 질병’으로 2018년 진료를 받은 여성 환자는 남성보다 2.5∼5.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2] 갑상선 질병의 성별 진료현황

(단위: 명, 천 일, 백만 원)

질병

갑상선의 악성 신생물(C73)

기타 갑상선기능저하증(E03)

갑상선기능항진증(E05)

구분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354,118

1,708

249,964

521,102

2,081

79,784

250,362

1,251

65,629

여성

290,206

1,385

193,611

438,854

1,777

67,148

178,188

879

46,210

남성

63,912

323

56,352

82,248

304

12,636

72,174

372

19,419

여성/남성()

4.5

4.3

3.4

5.3

5.8

5.3

2.5

2.4

2.4

 


‘갑상선의 악성 신생물의 여성 환자수는 29만 206명으로 남성 6만 3912명보다 4.5배 많았고, 여성의 진료비는 1,936억1139만 원으로 남성의 진료비 563억5211만 원 보다 3.4배 높았다.


‘갑상선 악성 신생물의 여성 연령대별 환자수를 살펴보면 50대가 9만 4642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 7만 1739명, 60대 6만 4142명, 30대 3만 4820명 순으로 나타났다.


남녀 성별에 따른 진료 현황 차이가 가장 많이 나는 연령대는 50대와 60대로 각각 5.1배, 5.2배로 여성 환자가 많았다.

(단위: 명)                                                    (단위: 명)
 

구분

/()

290,206

 

63,912

 

4.5

 

20대 미만

520

 

172

 

3.0

 

20

7,752

 

1,821

 

4.3

 

30

34,820

 

9,557

 

3.6

 

40

71,739

 

18,009

 

4.0

 

50

94,642

 

18,722

 

5.1

 

60

64,142

 

12,312

 

5.2

 

70

24,455

 

4,990

 

4.9

 

80대 이상

4,240

 

912

 

4.6

 

 
 [표3] 갑상선 악성 신생물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그림1] 갑상선 악성 신생물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2018년 ‘기타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진료받은 환자수는 52만 1102명이고, 여성 환자수는 43만 8854명으로 남성과 비교하면 5.3배 많이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연령대별 환자는 30대부터 진료 인원이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50대가 11만 3273명으로 가장 많이 진료를 받았으며 60세 이후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단위: 명)                                                       (단위: 명)
 

구분

/()

438,854

82,248

5.3

20대 미만

9,299

6,219

1.5

20

24,445

3,523

6.9

30

79,252

7,423

10.7

40

93,036

13,390

6.9

50

113,273

18,957

6.0

60

83,648

17,939

4.7

70

40,972

12,955

3.2

80대 이상

12,307

4,687

2.6

 

 [표4] 기타 갑상선기능저하증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그림2] 기타 갑상선기능저하증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알려진 ‘갑상선독증[갑상선기능항진증]’ 은 2018년 총 25만 362명의 환자가 진료를 받았으며, 그중 여성은 17만 8188명으로 남성보다 2.5배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별 여성 환자의 구성을 살펴보면 30대 환자가 급증하고 50대까지 꾸준히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단위: 명)
 

구분

/()

178,188

72,174

2.5

20대 미만

6,060

1,936

3.1

20

20,664

6,332

3.3

30

36,987

13,549

2.7

40

38,001

18,958

2.0

50

41,590

18,292

2.3

60

26,505

11,074

2.4

70

12,092

4,260

2.8

80대 이상

3,359

863

3.9

 

 [표5] 갑상선 기능 항진증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그림3] 갑상선 기능 항진증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 영양의 결핍에 의한 질병 >


‘철 결핍 빈혈’은 몸에서 철의 필요량이 증가하거나, 철분 소실로 인해 발생하며, ‘엽산 결핍 빈혈’은 주로 식사를 불규칙하게 했을 경우와 임신부들이 임신 기간에 엽산 필요량이 늘어났을 경우 발생한다.


[표6] 빈혈(철 결핍, 엽산 결핍)의 성별 진료현황

(단위: 명, 천일, 백만원)

질병

철 결핍 빈혈

엽산 결핍 빈혈

구분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352,938

743

31,762

3,355

7

316

여성

282,720

603

23,722

2,398

4

171

남성

70,218

140

8,041

957

2

145

여성/남성()

4.0

4.3

3.0

2.5

1.8

1.2

 


‘철 결핍 빈혈’로 병원을 찾은 여성 환자는 28만 2720명으로 남성과 비교하면 4.0배 높게 나타났다.


‘철 결핍 빈혈’을 연령대를 나누어 살펴보면 여성은 40대에서 9만 7819명으로 남성의 16.9배로 나타났다.

(단위: 명)                                                       (단위: 명)
 

구분

/()

282,720

70,218

4.0

20대 미만

36,133

21,890

1.7

20

24,306

3,439

7.1

30

45,399

4,361

10.4

40

97,819

5,793

16.9

50

35,115

8,018

4.4

60

15,770

9,938

1.6

70

17,268

11,079

1.6

80대 이상

13,961

6,203

2.3

 

 [표7] 철 결핍 빈혈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그림4] 철 결핍 빈혈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엽산 결핍 빈혈’로 진료를 받은 환자는 총 3,355명이고, 이 중 여성 환자는 2,398명으로 남성과 비교하면 2.5배 높았다.


‘엽산 결핍 빈혈은 30대 여성 환자가 766명으로 남성보다 12.6배 많았으며, 20대 미만을 제외한 다른 연령대에서는 평균 200∼300명의 환자가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단위: 명)
 

구분

/()

2,398

957

2.5

20대 미만

42

29

1.4

20

236

21

11.2

30

766

61

12.6

40

267

78

3.4

50

237

117

2.0

60

267

197

1.4

70

303

277

1.1

80대 이상

301

189

1.6

 

 [표8] 엽산 결핍 빈혈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그림5] 엽산 결핍 빈혈 성별 연령대별 환자수



또한 여성은 혈중 칼슘, 인의 수준을 조절하고 장에서 칼슘의 흡수를 돕는 ‘비타민D’와 시력 유지와 피부 건강을 돕는 ‘비타민A’의 결핍으로 남성보다 많이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남성보다 ‘비타민D 결핍’ 3.7배, ‘비타민A 결핍’ 2.2배, ‘식사성 칼슘결핍’ 6.9배 더 진료를 받았다.


[표9] 영양(비타민D, 비타민A, 식사성 칼슘) 결핍의 성별 진료현황

(단위: 명, 천 일, 백만 원)

질병

비타민D 결핍

비타민A 결핍

식사성 칼슘 결핍

구분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117,550

200

5,426

31,361

50

932

7,725

15

303

여성

92,472

155

4,014

21,692

34

651

6,746

13

266

남성

25,078

45

1,412

9,669

16

281

979

2

37

여성/남성()

3.7

3.5

2.8

2.2

2.2

2.3

6.9

7.2

7.3

 


여성 환자의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비타민D 결핍’은 50대까지 서서히 증가했고, ‘비타민A 결핍’은 20대 환자수가 가장 높았다가 점차 감소했지만, ‘식사성 칼슘 결핍’은 대부분 50∼60대에 환자가 진료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10] 영양 결핍의 연령대별 환자수(여성)

(단위: 명)

구분

20대이하

20

30

40

50

60

70

80대이상

비타민D 결핍

92,472

3,423

6,220

10,885

18,536

28,853

18,019

6,126

1,359

비타민A 결핍

21,692

836

4,311

3,786

3,698

3,494

2,319

1,987

1,455

식사성 칼슘 결핍

6,746

50

113

386

701

2,161

2,080

1,041

313


[그림6] 영양 결핍의 연령대별 환자수(여성)

(단위: 명)

비타민D 결핍 비타민A 결핍 식사성 칼슘 결핍




 

주요 다빈도 여성 질병


< 자궁 관련 질병 >


자궁 관련 질병인 ‘자궁경부암, ‘자궁근종, ‘여성생식관의 폴립의 2018년 진료현황을 살펴본 결과, 사람유두종 바이러스(HPV) 등으로 발생하는 ‘자궁경부암 환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8년 6만 2071명, 진료비는 1,245억1742만 원으로 2009년과 비교하여 연평균 각각 2.1%, 6.3% 증가했다.


[표11] 자궁 관련 질병 연도별 진료현황

(단위: 명, 천 일, 백만 원)

질병

자궁경부암

자궁근종

여성생식관의 폴립

구분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2018

62,071

592

124,517

400,041

1,034

191,563

127,699

250

27,576

2009

51,641

500

71,681

236,754

808

97,638

77,212

161

8,385

연평균증감률

2.1

1.9

6.3

6.0

2.8

7.8

5.7

5.0

14.1

 

 

환자수의 분포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40대에 1만 7072명으로 진료를 가장 많이 받았고, 50대 1만 4834명, 30대 1만 3815명 순이다.

(단위: 명, %)                                                  (단위: 명, %)
 

구분

2018

2009

연평균

증감율

62,071

51,641

2.1

20대 미만

41

17

10.3

20

3,370

2,476

3.5

30

13,815

10,035

3.6

40

17,072

16,321

0.5

50

14,834

12,655

1.8

60

9,387

7,821

2.0

70

4,462

3,773

1.9

80대 이상

1,216

662

7.0

 

 [표12] 자궁경부암 연령대별 환자수, 증감률  [그림7] 자궁경부암 연령대별 환자수, 증감률

 


자궁의 근육층에 생기는 양성종양인 ‘자궁근종의 환자수는 2018년 40만 41명이며 진료비는 1,915억6273만 원으로 2009년보다 연평균 6.0%, 7.8% 증가했다.


연령대별 환자수 는 40대가 17만 3668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11만 1717명, 30대 7만 6719명 순이었다.


2009년과 비교하면, 40대 이하에서는 30대가 연평균 5.3% 증가했으며, 50대 이상은 모든 연령대 대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단위: 명, %)                                                  (단위: 명, %)
 

구분

2018

2009

연평균

증감율

400,041

236,754

6.0

20대 미만

154

211

-3.4

20

12,681

10,077

2.6

30

76,719

48,226

5.3

40

173,668

124,662

3.8

50

111,717

48,876

9.6

60

25,158

6,024

17.2

70

4,108

966

17.4

80대 이상

391

90

17.7

 

 [표13] 자궁근종 연령대별 환자수, 증감률  [그림8] 자궁근종 연령대별 환자수, 증감률

 

‘여성생식관의 폴립의 2018년 환자수는 12만 7699명으로 2009년 대비 연평균 5.7%, 진료비는 275억7587만 원으로 연평균 14.1% 증가했다.


‘여성생식관의 폴립’은 주로 20∼50대에서 진료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30대는 3만 7621명, 40대가 5만 58명으로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단위: 명, %)                                                 (단위: 명)
 

구분

2018

2009

연평균

증감율

127,699

77,212

5.7

20대 미만

398

215

7.1

20

11,356

7,185

5.2

30

37,621

22,577

5.8

40

50,058

31,345

5.3

50

21,675

12,890

5.9

60

5,735

2,501

9.7

70

1,331

626

8.7

80대 이상

194

88

9.2

 

 [표14] 여성생식관의 폴립 연령대별 환자수, 증감률  [그림9] 여성생식관의 폴립 연령대별 환자수, 증감률

 


젊은 연령층에서 자궁 관련 질병 환자수의 증가 폭이 커 젊은 여성을 포함한 모든 연령대의 여성들에게 산부인과 정기 검진은 필수적이고, 정기검진을 통해 해당 질병을 조기 발견하여 치료하고 악화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자궁경부암’은 국가 암 검진 대상에 포함되어 20세 이상 여성은 2년 주기로 무료 검진을 받을 수 있으며, 매년 만 12세 여성청소년을 대상으로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 예방접종 비용을 지원한다.


2019년 기준 국가 자궁경부암 무료검진 대상자는 만 20세 이상의 출생연도 끝자리가 홀수로 끝나는 여성이며, HPV 예방접종 비용 지원 대상은 2006∼2007년 출생자로 6개월 간격으로 2회 지원받을 수 있다.



< 갱년기 여성에게 나타나는 질병 >


‘폐경 후 골다공증’의 환자수는 49만 2628명으로 10년 전과 비교하여 약 2배 증가(연평균 7.5%)했으며, 진료비는 626억7786만 원으로 2009년 대비 연평균 13.1%로 대폭 증가했다.


[표15] 폐경 후 골다공증의 연도별 진료현황

(단위: 명, 천 일, 백만 원)

질병

폐경 후 골다공증

심사년도

환자수

내원일수

진료비

2018

492,628

1,556

62,678

2009

257,618

953

20,697

연평균 증감률

7.5

5.6

13.1


‘폐경 후 골다공증’은 주로 50대부터 발병하여 60대에 가장 많이 진료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위: 명, %)                                                 (단위: 명, %)
 

구분

2018

2009

연평균

증감율

492,628

257,618

7.5

20

72

88

-2.2

30

496

687

-3.6

40

8,404

12,823

-4.6

50

104,186

67,387

5.0

60

190,342

100,812

7.3

70

151,567

67,803

9.3

80대 이상

53,177

14,558

15.5

 

 [표16] 폐경후 골다공증 연령대별 환자수, 증감률  [그림10] 폐경후 골다공증 연령대별 환자수, 증감률

 


심사평가원 김현표 빅데이터실장은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분석한 여성 질병 진료현황을 참고하여, 여성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질병을 사전에 관리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전하며, “진료정보를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등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작성기준
○ 건강보험 심사결정분 기준(심사일 기준)
○ 질병통계는 요양기관에서 청구한 주상병을 기준으로 작성함 (주상병 기준: 통계청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2015), 약국 및 한방상병 제외)
○ 질병별 심사현황은 환자진료 중 진단명이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의 호소, 증세에 따라 일차 진단명을 부여하고 청구함으로써 실제 최종 확정 진단명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진료시점 만(滿)나이를 기준으로 연령 산출함
○ 환자수는 동일 환자가 여러 번 진료를 받은 경우 중복 제거한 진료인원으로,
   연령, 질병을 달리하여 환자수를 단순 합산하여 사용할 수 없음

※ (참고) 상세 상병 코드 및 상병명


상병구분

코드

상병명

갑상선 관련 질병

C73

갑상선의 악성 신생물

E03

기타 갑상선기능저하증

E05

갑상선기능항진증

영양의 결핍에 의한 질병

D50

철 결핍 빈혈

D52

엽산 결핍 빈혈

E50

비타민D 결핍

E55

비타민A 결핍

E58

식사성 칼슘 결핍

자궁 관련 질병

자궁경부암

C73

자궁경부의 악성신생물

D06

자궁경부의 제자리암종

자궁근종

D25

자궁의 평활근종

O341

자궁체부종양의 산모 관리

여성 생식기의 폴립

N84

여성 생식기의 폴립

갱년기 여성에게


나타나는 질병

폐경 후 골다공증

M800

병적 골절을 동반한 폐경후 골다공증

M810

병적 골절이 없는 폐경후 골다공증



[참고1]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은 질병 상위 30위(2018년)


(단위: 명, 배)

순위

상병명

상병코드

환자수

/()

남성

여성

1

무릎관절증

M17

859,384

2,018,497

2.3

2

눈물계통의 장애

H04

810,921

1,634,588

2.0

3

방광염

N30

101,477

1,549,608

15.3

4

칸디다증

B37

46,759

970,097

20.7

5

병적 골절이 없는 골다공증

M81

53,383

868,979

16.3

6

전정기능의 장애

H81

324,736

703,322

2.2

7

유방의 기타 장애

N64

3,251

457,585

140.8

8

기타 갑상선기능저하증

E03

82,248

438,854

5.3

9

편두통

G43

156,028

389,579

2.5

10

비뇨계통의 기타 장애

N39

119,609

345,785

2.9

11

기타 비독성 고이터

E04

68,193

328,513

4.8

12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G30.-+)

F00

121,395

320,061

2.6

13

유방의 양성 신생물

D24

941

295,808

314.4

14

갑상선의 악성 신생물

C73

63,912

290,206

4.5

15

철결핍빈혈

D50

70,218

282,720

4.0

16

기타 전신 증상 및 징후

R68

17,534

248,117

14.2

17

양성 유방형성이상

N60

758

224,634

296.4

18

다발관절증

M15

84,996

189,417

2.2

19

급성 세뇨관-간질신장염

N10

30,601

188,409

6.2

20

유방의 악성 신생물

C50

630

181,340

287.8

21

갑상선독증[갑상선기능항진증]

E05

72,174

178,188

2.5

22

유방의 상세불명의 덩이

N63

1,045

177,326

169.7

23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주로 성행위로 전파되는 질환

A63

56,877

173,812

3.1

24

팔의 단일신경병증

G56

77,035

169,654

2.2

25

뇌손상, 뇌기능이상 및 신체질환에 의한 기타 정신장애

F06

80,986

165,548

2.0

26

갑상선의 기타 장애

E07

32,176

149,221

4.6

27

갑상선의 양성 신생물

D34

27,726

137,192

4.9

28

요추 및 골반의 골절

S32

55,138

134,028

2.4

29

달리 분류되지 않은 부종

R60

62,563

132,803

2.1

30

하지의 정맥류

I83

59,070

125,169

2.1

여성 환자 기준 300명 이상, 여성 환자수/남성 환자수()2이상의 상병을 대상으로 함


비타민D 결핍 40, 비타민A 결핍 65, 식사성 칼슘 결핍 88, 엽산 결핍 빈혈 108

 


[참고2] 주요 다빈도 여성 질병 상위 30위(2018년)


(단위: 명)

순위

상병명

상병코드

여성 환자수

1

질 및 외음부의 기타 염증

N76

1,514,280

2

자궁경부의 염증성 질환

N72

1,213,218

3

폐경 및 기타 폐경전후 장애

N95

690,742

4

기타 이상 자궁 및 질 출혈

N93

481,767

5

자궁의 평활근종

D25

392,334

6

무월경, 소량 및 희발 월경

N91

380,475

7

과다, 빈발 및 불규칙 월경

N92

257,352

8

여성생식기관 및 월경주기와 관련된 통증 및 기타 병태

N94

239,327

9

기타 여성골반염증질환

N73

220,226

10

자궁경부의 미란 및 외반

N86

217,677

11

자궁경부의 이형성

N87

178,573

12

여성불임

N97

151,489

13

여성생식관의 폴립

N84

127,699

14

자궁내막증

N80

122,277

15

난소의 양성 신생물

D27

116,497

16

자궁경부를 제외한 자궁의 염증성 질환

N71

110,749

17

여성생식기관 검사물의 이상소견

R87

107,033

18

난소, 난관 및 넓은인대의 비염증성 장애

N83

102,183

19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외음질의 궤양 및 염증

N77

70,945

20

난소의 기능이상

E28

64,183

21

골반기관의 알려진 또는 의심되는 이상에 대한 산모관리

O34

51,762

22

자궁경부를 제외한 자궁의 기타 비염증성 장애

N85

48,950

23

자궁경부의 제자리암종

D06

36,959

24

바르톨린선의 질환

N75

26,937

25

자궁경부의 악성 신생물

C53

26,657

26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여성골반염증장애

N74

25,041

27

여성생식기탈출

N81

24,917

28

난소의 악성 신생물

C56

23,310

29

난관염 및 난소염

N70

22,222

30

자궁체부의 악성 신생물

C54

19,354

임신, 분만, 산모 관련 상병 제외하고 수록함

 


[참고3] 여성 환자수 기준 다빈도 상병 상위 30위(2018년)


(단위: 명)

순위

상병명

코드

남성

여성

‘09


순위 차이

1

급성 기관지염

J20

7,502,643

9,216,456

-

2

치은염 및 치주질환

K05

7,655,592

7,955,862

2 󰀵

3

혈관운동성 및 앨러지성 비염

J30

3,321,639

3,810,167

5 󰀵

4

다발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급성 상기도감염

J06

2,700,620

3,367,541

1

5

위염 및 십이지장염

K29

2,133,248

3,210,455

-

6

급성 편도염

J03

2,606,059

3,194,580

4

7

치아우식

K02

2,788,869

3,091,631

-

8

등통증

M54

2,210,935

3,062,815

5 󰀵

9

본태성(원발성) 고혈압

I10

2,999,589

3,027,212

1 󰀵

10

결막염

H10

1,966,735

2,709,023

1 󰀵

11

앨러지성 접촉피부염

L23

1,944,345

2,694,633

3 󰀵

12

급성 인두염

J02

2,099,689

2,687,399

6

13

-식도역류병

K21

1,882,203

2,557,873

6 󰀵

14

급성 비인두염[감기]

J00

2,076,940

2,493,709

5

15

감염성 및 상세불명 기원의 기타 위장염 및 결장염

A09

2,204,626

2,462,474

6 󰀵

16

급성 부비동염

J01

1,836,799

2,142,314

1

17

치수 및 근단주위조직의 질환

K04

2,266,751

2,075,602

5

18

무릎관절증

M17

859,384

2,018,497

-

19

급성 후두염 및 기관염

J04

1,476,655

1,970,722

2

20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연조직장애

M79

1,301,119

1,799,290

4 󰀵

21

눈물계통의 장애

H04

810,921

1,634,588

1

22

방광염

N30

101,477

1,549,608

1 󰀵

23

질 및 외음부의 기타 염증

N76

-

1,514,280

7

24

급성인지 만성인지 명시되지 않은 기관지염

J40

1,150,529

1,473,541

7 󰀵

25

두드러기

L50

1,136,364

1,423,722

1 󰀵

26

굴절 및 조절의 장애

H52

1,186,130

1,423,537

4

27

어깨병변

M75

995,903

1,272,949

6 󰀵

28

2형 당뇨병

E11

1,503,698

1,214,595

14 󰀵

29

자궁경부의 염증성 질환

N72

-

1,213,218

38 󰀵

30

지질단백질대사장애 및 기타 지질증

E78

798,935

1,208,383

34 󰀵


※ 음영 표시는 2009년 상위 30위 밖에서 2018년 상위 30위로 진입한 상병


원본 기사 보기:safekoreanews
  • 도배방지 이미지

여성 보건 갑상선 빈혈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