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작년 375만명 13조8천억원 지급
부부 연금수급자 21만쌍, 4년전보다 2배, 올해 415만명에게 16조원 예상
김쥬니 기자 | 입력 : 2015/03/19 [11:43]
국민연금공단은 2014년 한해 375만 명의 수급자에게 13조 7,799억 원의 연금(매월 1조 1,483억 원)을 지급하였다고 밝혔다.총 급여의 82%인 11조 3천억 원이 노령연금으로 지급되었고, 유족연금과 장애연금이 각각 10.6%, 2.4%, 일시금이 5.0%를 차지하였다.연금수급자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은 40.6%로 전년보다 76천명이 늘어났다. 특히, 유족연금수급자 중 여성은 92.5%, 분할연금수급자 중 여성은 88.2%로 남성에 비해 12배 이상 높아 상대적으로 노후준비가 취약한 여성의 소득보장에 기여하고 있다.
< 성별 연금수급자 >
(기준 : 2014.12월 당월, 단위 : 명)
구분
|
계
|
노령연금
|
(분할연금)
|
장애연금
|
유족연금
|
계
|
3,533,631
|
2,907,498
|
11,802
|
70,433
|
555,700
|
여성
|
1,435,069
|
910,142
|
10,406
|
10,863
|
514,064
|
남성
|
2,098,562
|
1,997,356
|
1,396
|
59,570
|
41,636
| | 전국 17개 시도별 지급현황을 보면, 서울(69만명)이 2조 8,339억 원으로 제일 높았으며 경기도(72만명)가 2조 8,155억 원으로 그 뒤를 이었고, 1인당 지급액은 울산지역(연 4,832천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우리나라 65세 이상 인구(652만명)의 34.8%인 227만 명이 국민연금을 수령하고 있고, 최근 5년간 65세 이상 인구 증가율이 1.2배로 증가한 반면 수급자 수는 1.8배(2009년 1,265천명→2014년 2,268천명)로 더 빠른 증가세를 보였다.65세 이상 인구대비 연금수급자 비율은 전라북도 순창군이 46.1%로(9,160명중 4,223명 연금 수급) 제일 높았고, 경상북도 청도군이 45.8%로 그 뒤를 이었다.
< 65세 이상 인구대비 연금수급자 >
(단위 : 명, %)
구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65세이상인구
|
5,267,708
|
5,506,352
|
5,700,972
|
5,980,060
|
6,250,986
|
6,520,607
|
수급자수
|
1,264,623
|
1,423,685
|
1,600,966
|
1,830,197
|
2,061,289
|
2,267,567
|
비율
|
24.0%
|
25.9%
|
28.1%
|
30.6%
|
33.0%
|
34.8%
|
< 65세 이상 인구대비 연금수급자 비율 상위지역 >
(2014.12월말 기준, 단위 : 명, %)
|
순번
|
지역
|
65세 이상 수급자
|
65세 이상 인구
|
비율
|
1
|
전라북도 순창군
|
4,223
|
9,160
|
46.1
|
2
|
경상북도 청도군
|
6,232
|
13,615
|
45.8
|
3
|
전라남도 화순군
|
6,904
|
15,187
|
45.5
|
4
|
전라남도 장성군
|
5,437
|
12,263
|
44.3
|
5
|
울산광역시 동구
|
5,500
|
12,496
|
44.0
| | 국민연금 수급자가 증가하면서 지역별로 국민연금 수급자 동호회 및 인터넷 카페를 운영하고, 함께 사회봉사활동을 하며 적극적인 노년의 삶을 영위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 2014년 연금수급자 모임 참여자 : 4,682명
(주요활동) 미용, 동화구연단 공연 등 재능기부, 배식봉사 및 반찬배달, 장애인 활동지원, 탈북 청소년 역사교육 등
< 연금수급자 모임 참여 사례>
(사례 1) 서울 송파구에 사는 이○○(남, 69세)씨는 국민연금에 18년동안 가입 후 2006년부터 현재까지 월 100만원의 노령연금을 받고 있으며, 연금수급자 모임을 6년째 참여하여 활발한 노후생활을 보내고 있음
(사례 2) 대구시 달서구에 사는 장○○(여, 65세)씨는 2009년부터 노령연금을 수령중이며, 연금수급자 봉사단 참여를 통해 장애인 돌봄 등 적극적인 사회봉사활동을 하며 보람된 은퇴생활을 영위하고 있음
| 부부 모두 노령연금을 받는 연금수급자도 현재 214,456쌍으로 2010년 이후 연평균 24.3%씩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 중 최고로 연금을 많이 받는 부부 수급자는 합산하여 월 251만원을 수령 중이며, 은퇴부부가 기대하는 부부합산 최저 생활비인 월 136만원을 초과하는 부부수급자는 3,428쌍이다.
* 50대이상 중고령자 5천여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결과 부부합산 최저생활비 월 136만원으로 응답(2013년 국민연금연구원 실시)
1. 부부 연금수급자 증가 현황
(기준:12월 당월)
구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부부수급자(쌍)
|
108,674
|
146,333
|
177,857
|
194,747
|
214,456
| 2. 여성 가입자 및 여성 노령연금 수급자 증가 현황
(기준:12월 당월)
구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여성 가입자(명)
|
7,659,407
|
8,116,412
|
8,504,904
|
8,797,089
|
9,078,893
|
여성 노령연금수급자(명)
|
711,847
|
759,602
|
833,700
|
869,409
|
910,142
| * 가입자 : 사업장, 지역(납부예외 포함), 임의, 임의계속가입자
| 이처럼 부부가 함께 가입해서 각자의 연금을 받아 훨씬 안정된 노후생활을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부부가 함께 국민연금에 가입하는 경우도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국민연금 임의가입자 중 전업주부 등 여성의 임의가입 비율이 84%로 높다.
* 2014.12월 말 임의가입자 202,536명 중 여성가입자는 170,236명으로 84%임20년 이상 국민연금에 가입하여 연금을 수령하고 있는 수급자의 평균 연금월액은 87만원이며, 수급자 중 최고액은 월 173만 1,510원이다.노령연금의 경우 가입기간이 길수록 연금수령월액이 높은데, 20년이상 가입한 연금수급자가 2008년 최초 1만 3천명에서 2014년 말 14만 4천명으로 7년 만에 11배로 늘어났으며 현재 월평균 87만원의 연금을 수령 중이다.
< 20년 이상 가입한 노령연금수급자 >
(단위 : 명)
구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수급자수
|
12,798
|
33,005
|
57,460
|
82,436
|
121,826
|
125,630
|
143,596
| | 현재 연금을 가장 많이 받는 사람은 서울 강남구에 사는 A(65)씨이다.
A씨는 국민연금제도가 시행된 88년 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21년간 국민연금에 가입해 2009년 11월부터 매월 130만원 상당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A씨는 향후 더 많은 연금을 받기위해 5년간 연금지급을 연기하였고, 연기기간이 끝난 지난 2014년 11월부터 32.8%인상된 월 173만 1,510원(연 2천만원)을 수령 중이다.
또한 2014년 12월말 현재 100세이상 연금수급자는 33명이며, 그 중 최고령자는 전남 나주시에 사는 B씨로 104세이다.
1. 연금종별 평균․최고연금 월액
(기준 : 2014년 12월 당월, 단위 : 원)
구분
|
계
|
노령연금
|
장애연금
|
유족
연금
|
20년이상
|
10~19년
|
1급
|
2급
|
3급
|
최고
|
1,731,510
|
1,731,510
|
1,661,130
|
1,344,760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