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문화예술 패스’ 이용이 낮은 이유는 청소년의 니즈 파악이 안 되어 청년층이 가장 선호하는 영화나 대중음악 콘서트 같은 행사에는 사용할 수 없어 전형적인 탁상행정이 낳은 결과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달 초 조계원 (민주당 여수시을) 국회의원(문화체육관광위원회)이 문체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문체부가 올해 청년 11만 3,180명에게 약 148억 원 상당의 포인트를 지급했지만 7월 말까지 이용액은 약 21억 원에 불과했다.
‘청년 문화예술 패스’는 문체부가 올해 처음으로 소득이 적은 청년층의 문화 취향 형성 및 문화 소비 활성화를 통해 적극적인 문화 소비 주체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하지만, 8월 현재 ‘청년 문화예술 패스’ 전국 평균 이용률은 14.3% 수준에 머물러 저조했고 특히 제주·경북·전남·부산 이용률은 10%에도 못 미치고 있다.
이는 ‘청년 문화예술 패스’로 이용할 수 있는 ‘연극’, ‘뮤지컬’ ‘클래식·오페라’ ‘국악’, ‘무용’ ‘전시·행사’로 한정되어 있고 청년들 취향과 지방 도시의 현실을 무시하고 영화와 대중음악의 관람을 제한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그런데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이와 비슷한 ‘통합문화이용권’은 영화나 대중음악 관람도 가능하여 8월 현재 전국 평균 이용률은 57.7%를 기록하며 ‘청년 문화예술 패스’에 비해 4배 이상 큰 차이를 보인다.
두 사업의 내용은 서로 비슷하면서도 이용률 면에서는 이 처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문체부의 정책 입안 단계에서 소비대상인 청년들의 의견과 비 수도권 도시의 문화 환경이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조사에서 문화예술행사를 가장 많이 즐기는 연령대는 10대에서 30대로 나타 내었듯이 가장 많은 소비층인 청년들이 선호하는 영화와 대중음악·연예 분야는 '청년문화예술 패스' 이용에서 의외로 제외된 것이다.
조계원 의원은 “‘청년 문화예술 패스’는 소득이 적고 사회 초년생인 청년들에게 문화 향유 기회를 돕는 취지임에도 정작 청년들의 취향과 선호도 파악이 안 되어 영화관람과 대중음악 공연을 제한한 것은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다”라고 꼬집었다.
이어 “내년부터는 전국 68개소 ‘작은 영화관’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역문화 활성화와 영화·대중음악 등 문화예술행사까지 확대하고 지방비 매칭 비율도 최저 기준만 제시하는 등 사업 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원본 기사 보기:뉴스스콜 <저작권자 ⓒ 인터넷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청년문화예술패스 전시행정 관련기사목록
|
인기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