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대책 추진, 산악지역 대응 강화

INGO-GECPO | 기사입력 2021/01/04 [11:20]

겨울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대책 추진, 산악지역 대응 강화

INGO-GECPO | 입력 : 2021/01/04 [11:20]

▷ 비발생지역 확산 위험도를 사전에 예측하여 선제적 대응

▷ 특별포획단 확대, 전문 산악인력 동원, 수색견 도입 등을 통해 산악지역에 대한 현장대응 역량 강화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겨울철 들어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이 증가하고 발생지역도 확대될 우려가 커짐에 따라 강화된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 대책을 추진한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10월 9일 이후 양돈농가에서는 발생하지 않고 있으나 야생멧돼지에서는 계속 발생하고 있으며, 겨울철 들어서 발생 건수가 크게 늘고 있다.

10월 22건이었던 발생 건수는 11월 56건, 12월 29일 기준 76건으로 늘었다.

또한, 지난 11월 28일에는 가평군에서 처음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멧돼지가 발견되었고 춘천시 서면, 포천시 신북면, 인제군 인제읍에서는 광역울타리 바깥 지역에서도 감염 개체가 발생하는 등 발생지역도 넓어지고 있다.

환경부는 멧돼지 이동 및 감염 전파를 차단하기 위해 포천~춘천, 홍천~양양에 이르는 광역울타리를 추가로 설치하고 있으며, 발생지역 주변에 대한 폐사체 수색과 야생멧돼지 포획을 강화하고 있다.

다만, 겨울철은 멧돼지들의 먹이활동, 번식 활동 등으로 개체간 접촉이 많은 시기인 만큼 내년 봄까지는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발생지역도 확대될 우려가 있어 대책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환경부는 최근 넓어진 발생 지역과 백두대간 지역으로의 확산 경향 등 변화된 대응 여건을 반영한 겨울철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차단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첫째, 발생지역 확산 우려가 커지는 것에 대응하여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 징후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도록 발생상황에 대한 사전 예측 기능을 강화한다.

우선, 소속·산하기관*을 포함하여 야생동물 병리·생태 분야 전문가들로 현장점검반을 구성하여, 주기적으로 현장을 점검하고 발생상황 및 대책을 진단하도록 한다.

*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국립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 국립공원공단 등

또한, 멧돼지 개체 밀도, 발생지역의 지형·지리 정보 및 울타리 취약구간 정보 등을 활용하여 멧돼지 이동 및 감염 확산경로 분석모형(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둘째, 최근 광역울타리 설치 지역이 늘어나는 등 변화된 대책 여건을 반영하여 지역별 발생상황에 따라 차등화된 대책을 추진한다.

관리지역(대책 추진지역)을 양성개체 발생상황에 따라 기존발생지역, 핵심대책지역, 사전예방지역으로 구분하여 대책 추진 전략을 달리 적용함으로써 대책의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

기존발생지역은 그동안 설치한 울타리로 구획화되어 있는 지역 특성을 활용하여, 외부로의 감염원 유출을 막고, 신속한 감염원 제거와 개체수 저감에 주력한다.

이를 위해 관·군 합동 수색 및 구획화된 지역에 수색 인력을 집중 투입하는 방식으로 폐사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확산 우려가 적은 지역은 제한적 총기포획을 확대한다.

핵심대책지역*은 기존 광역울타리와 새로 설치 중인 광역울타리 사이 지역으로 멧돼지 이동 차단, 확산 징후의 조기 포착 및 멧돼지 포획 등 대책역량을 집중한다.

* 가평군 및 백두대간 산악지역 등 최근 감염원이 유입되어 국지적으로 감염이 진행되고 있거나 향후 감염 확산의 우려가 큰 지역임

우선 현재 설치 중인 신규 광역울타리* 설치를 신속히 완료하고, 울타리 관리인력 상시 배치 및 환경청 등 관계기관의 주기적 점검을 통해 차단상태를 유지한다.

* 파주~춘천 노선, 포천·가평 종단노선, 홍천~양양 노선, 인제 산악지역 구획화 노선 등

특히 전 구간에 걸쳐 교량, 교차로, 배수로 등 취약구간을 정보화(데이터베이스)하여 교량, 배수로 등 취약지점을 보강하고 상시 관리할 계획이다.

또한, 확산 우려로 인해 총기포획을 제한해야 하는 지역 여건상 포획도구에 전문성이 있는 엽사들로 구성된 특별포획단 투입을 늘리되, 울타리 설치상황 등 주변 여건에 따라 소지역 단위의 포획 작전을 병행한다.

아울러, 수색견 도입, 산악 전문 특별수색팀 운영 등 수색 효율을 높이고 수색 범위를 넓혀 확산 징후를 조기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 가평 화악산, 화천 두류산, 인제 설악산 등 미수색 산악지대 5개소에 우선 투입

사전예방지역은 신규 광역울타리 이남의 비발생 지역으로 구분하여 사전 대비태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사전예방지역은 핵심대책지역과의 거리 등 확산위험의 정도에 따라 Ⅰ 지역, Ⅱ 지역, Ⅲ 지역으로 구분한다.

핵심대책지역과 경계를 이루고 있는 Ⅰ 지역은 특별포획단을 투입하여 핵심대책지역으로부터 이남지역으로의 개체간 전파가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Ⅱ·Ⅲ지역은 지자체(경기·강원)와 협조하여 광역수렵장 운영 등 적극적인 총기포획으로 개체수를 신속하게 줄인다.

특히 핵심대책지역과 인접한 Ⅰ, Ⅱ지역은 모든 포획개체에 대해 아프리카돼지열병 양성 여부를 검사*하고, 신규 수색인력(120명)을 편성하여 오염원 유입에 대비한다.

* 현장 시료분석실을 설치(홍천)하여 광역수렵장 포획개체 전수 분석 중(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이미 양성개체가 발생한 이후에 긴급대응하는 전략으로는 근본적인 확산 차단에 한계가 있다"라며,

"이번 대책을 차질 없이 시행하여 지역별 확산 위험도 분석에 기반한 선제적 대응체제로 전환하고 겨울철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겠다"라고 밝혔다.

1.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세부현황.(12.29일 18시 기준)

그림입니다.

ASF 발생(건수)

파주

연천

포천

가평

철원

화천

춘천

양구

인제

고성

‘19

10

5

7

-

-

6

-

-

-

-

-

18

11

6

2

-

-

7

-

-

-

-

-

15

12

8

10

-

-

4

-

-

-

-

-

22

소계

19

19

0

0

17

0

0

0

0

0

55

‘20

1

27

20

-

-

2

34

-

-

-

-

83

2

22

45

-

-

3

73

-

-

-

-

143

3

17

94

-

-

1

77

-

-

-

-

189

4

11

52

2

-

6

38

-

3

-

3

115

5

2

24

1

-

-

18

-

-

-

1

46

6

-

17

2

-

-

5

-

-

-

-

24

7

-

7

10

-

-

17

-

-

-

-

34

8

-

3

2

-

4

17

1

5

6

-

38

9

-

3

1

-

-

10

2

7

4

-

27

10

-

5

-

-

1

5

-

5

6

-

22

11

-

-

1

5

-

23

6

6

15

-

56

12

-

24

11

1

-

19

6

7

8

-

76

소계

79

294

30

6

17

336

15

33

39

4

853

총 계

98

313

30

6

34

336

15

33

39

4

908

검사시료 건수

분석결과

합계

폐사체

포획

양성

음성

양성

음성

202

(폐사체 36, 포획 166)

202

14

22

3

163

발생지역

파주

20

0

0

0

20

연천

16

2

2

0

12

포천

20

2

3

1

14

가평

13

0

0

0

13

철원

2

0

2

0

0

화천

18

8

7

0

3

춘천

11

2

1

0

8

양구

9

0

5

0

4

인제

6

0

1

2

3

고성

3

0

1

0

2

그 외 지역

84

0

0

0

84

구분

신고

확진

시도

시군구

주 소

종류

발견자

비고

892

12.22

12.23

강원

화천

상서면 장촌리 산53-1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893

12.22

12.23

강원

춘천

사북면 원평리 산78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894

12.23

12.24

강원

화천

사내면 명월리 산35

폐사체

주민

895

12.23

12.24

강원

화천

간동면 도송리 산22-10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896

12.23

12.24

강원

화천

화천읍 풍산리 산138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897

12.23

12.24

경기

연천

연천읍 동막리 산125-4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898

12.24

12.27

강원

화천

간동면 도송리 산22-2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899

12.25

12.28

경기

연천

군남면 진상리 73

폐사체

주민

900

12.27

12.28

강원

춘천

서면 당림리 산90

폐사체

주민

901

12.28

12.29

강원

화천

화천읍 풍산리 산161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902

12.28

12.29

강원

화천

화천읍 풍산리 산161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903

12.28

12.29

강원

화천

간동면 방천리 산11-10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904

12.28

12.29

경기

포천

창수면 추동리 산115-8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905

12.28

12.29

경기

포천

창수면 추동리 산112-1

폐사체

환경부 수색팀

906

12.27

12.29

강원

인제

북면 원통리 156

포획트랩

엽사

907

12.27

12.29

강원

인제

북면 원통리 156

포획트랩

엽사

908

12.28

12.29

경기

포천

영북면 소회산리 산182-8

포획트랩

포획트랩 관리인

2. 관리지역 구분 개념도.

< 기존 관리지역 구분 >

< 새로운 관리지역 구분 >

발생지역

완충지역

차단지역

< 별도 지역구분 없음 >

기존발생지역

핵심대책지역

사전예방지역

사전예방지역

사전예방지역

< 관리지역 구분 도면()>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25c020a.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506pixel, 세로 1035pixel

2021-01-01

환경부 생물다양성과


원본 기사 보기:GECPO-Green News
  • 도배방지 이미지

아프리카돼지열병 방역 관련기사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