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스마트 그린도시' 대상지 25곳 선정, 2900억원 투입 지역 주도

INGO-GECPO | 기사입력 2021/01/02 [10:19]

전국 '스마트 그린도시' 대상지 25곳 선정, 2900억원 투입 지역 주도

INGO-GECPO | 입력 : 2021/01/02 [10:19]

▷ 2021년부터 2년간 종합선도형 5곳, 문제해결형 20곳에 총 2,900억 원 투입하여 지역이 주도하는 도

시의 맞춤형 녹색전환 본격화

▷ 기후탄력, 온실가스 감축, 대기오염 저감 등 지역 특성에 맞는 우수 사업 발굴로 그린뉴딜의 지역기

반 확산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지역이 주도하는 도시의 맞춤형 녹색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 대상지 25곳을 선정하고 12월 28일 이를 공개했다.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은 그린뉴딜 과제 중 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을 위한 대표 사업이다. 도시의 기후·환경 문제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기후, 물, 대기, 자원순환 등 다양한 환경 분야 사업들을 융·복합하는 지역 맞춤형 환경개선을 지원한다.

 

대상지 25곳은 사업목적과 예산 규모 등을 고려하여 종합선도형* 5곳과 문제해결형** 20곳으로 선정됐다.

* (종합선도형) 지역 환경현안 해결뿐만 아니라 도시의 녹색전환을 위해 3개 이상 환경 분야 사업 결합

** (문제해결형) 지역 맞춤형 기후·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2개 이상 환경 분야 사업 결합

 

종합선도형 5곳은 경기(화성시), 전북(전주시), 전남(강진군), 경북(상주시), 경남(김해시)이다.

 

문제해결형은 20곳은 경기 6곳(부천시, 성남시, 안성시, 안양시, 양주시, 평택시) 전남 3곳(순천시, 장흥군, 해남군) 강원 2곳(강원도 등 6개 지자체 공동*, 강릉시)을 비롯해 충북(진천군), 충남(공주시), 전북(장수군), 경북(포항시), 경남(밀양시), 인천(서구), 광주(동구), 부산(사하구), 제주** 각 1곳씩 선정됐다.

* 강원도·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고성군 6개 지자체 공동신청

** 제주의 경우 시·군·구 등의 기초 지자체가 아닌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직접 신청함

 

환경부는 대상지 선정을 위해 올해 9월 9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했다. 총 100곳의 지자체(종합선도형 14곳, 문제해결형 86곳)가 지원하여 평균 경쟁률 4대1을 기록했다.

* 전국 243개 지자체(17개 광역 시·도 및 226개 기초 지자체)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에서 신청지 100곳을 대상으로 서면평가(12월 12일), 현장점검(12월 14일~19일), 종합평가(12월 28일) 등을 거쳐 최종 25곳을 선정했다.

 

스마트 그린도시 25곳의 사업은 2021년부터 2년간 시행되며, 총 사업비 규모는 2,900억 원(국비 1,700억 원, 지방비 1,200억 원)이다.

 

종합선도형으로 선정된 5곳에는 각각 사업비 167억 원(국비 100억 원, 지방비 67억 원)이 지원된다. 문제해결형으로 선정된 20곳에는 각각 사업비 100억 원(국비 60억 원, 지방비 40억 원)이 2년간 순차 투입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2021년 상반기 중으로 세부 시행계획 검토 및 지방재정 심의 등을 거쳐 투자 규모를 확정하면서 스마트 그린도시 시행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 신속·원활한 시행계획 수립을 위하여 스마트 그린도시 지원단 및 전문가 자문 등 상시 지원

 

환경부는 이번에 선정된 25곳의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과 연계사업 등을 통해 약 3천개의 일자리(건설 및 관리단계)가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25곳은 도시의 녹색전환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되며 전기차 충전 기반시설(인프라), 스마트 자원화 시설 등 세부 사업을 통해 연간 2만 7천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그린뉴딜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전반적인 도시 환경문제를 개선하고 그린뉴딜 및 지역균형 발전을 확산시킬 전망이다.

 

김동구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을 통해 지역이 주도하는 그린뉴딜의 추진체계가 강화되고 도시의 환경 기반시설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조기에 창출하고, 그 성과가 전국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보다 세밀하고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사업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1.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 대상지 25곳.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지역이 주도하는 도시의 맞춤형 녹색전환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 대상지 25곳을 선정하고 12월 28일 이를 공개했다.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은 그린뉴딜 과제 중 도시의 녹색 생태계 회복을 위한 대표 사업이다. 도시의 기후·환경 문제에 대한 진단을 토대로 기후, 물, 대기, 자원순환 등 다양한 환경 분야 사업들을 융·복합하는 지역 맞춤형 환경개선을 지원한다.

 

대상지 25곳은 사업목적과 예산 규모 등을 고려하여 종합선도형* 5곳과 문제해결형** 20곳으로 선정됐다.

* (종합선도형) 지역 환경현안 해결뿐만 아니라 도시의 녹색전환을 위해 3개 이상 환경 분야 사업 결합

** (문제해결형) 지역 맞춤형 기후·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 2개 이상 환경 분야 사업 결합

 

종합선도형 5곳은 경기(화성시), 전북(전주시), 전남(강진군), 경북(상주시), 경남(김해시)이다.

 

문제해결형은 20곳은 경기 6곳(부천시, 성남시, 안성시, 안양시, 양주시, 평택시) 전남 3곳(순천시, 장흥군, 해남군) 강원 2곳(강원도 등 6개 지자체 공동*, 강릉시)을 비롯해 충북(진천군), 충남(공주시), 전북(장수군), 경북(포항시), 경남(밀양시), 인천(서구), 광주(동구), 부산(사하구), 제주** 각 1곳씩 선정됐다.

* 강원도·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고성군 6개 지자체 공동신청

** 제주의 경우 시·군·구 등의 기초 지자체가 아닌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직접 신청함

 

환경부는 대상지 선정을 위해 올해 9월 9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실시했다. 총 100곳의 지자체(종합선도형 14곳, 문제해결형 86곳)가 지원하여 평균 경쟁률 4대1을 기록했다.

* 전국 243개 지자체(17개 광역 시·도 및 226개 기초 지자체)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평가위원회에서 신청지 100곳을 대상으로 서면평가(12월 12일), 현장점검(12월 14일~19일), 종합평가(12월 28일) 등을 거쳐 최종 25곳을 선정했다.

 

스마트 그린도시 25곳의 사업은 2021년부터 2년간 시행되며, 총 사업비 규모는 2,900억 원(국비 1,700억 원, 지방비 1,200억 원)이다.

 

종합선도형으로 선정된 5곳에는 각각 사업비 167억 원(국비 100억 원, 지방비 67억 원)이 지원된다. 문제해결형으로 선정된 20곳에는 각각 사업비 100억 원(국비 60억 원, 지방비 40억 원)이 2년간 순차 투입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2021년 상반기 중으로 세부 시행계획 검토 및 지방재정 심의 등을 거쳐 투자 규모를 확정하면서 스마트 그린도시 시행 협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 신속·원활한 시행계획 수립을 위하여 스마트 그린도시 지원단 및 전문가 자문 등 상시 지원

 

환경부는 이번에 선정된 25곳의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과 연계사업 등을 통해 약 3천개의 일자리(건설 및 관리단계)가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25곳은 도시의 녹색전환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하게 되며 전기차 충전 기반시설(인프라), 스마트 자원화 시설 등 세부 사업을 통해 연간 2만 7천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그린뉴딜 사업과의 연계를 통해 전반적인 도시 환경문제를 개선하고 그린뉴딜 및 지역균형 발전을 확산시킬 전망이다.

 

김동구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관은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을 통해 지역이 주도하는 그린뉴딜의 추진체계가 강화되고 도시의 환경 기반시설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면서,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조기에 창출하고, 그 성과가 전국적으로 확산할 수 있도록 지자체와 보다 세밀하고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사업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1. 스마트 그린도시 사업 대상지 25곳.

 

2. 스마트 그린도시 주요 사업계획.

광역

기초

사업유형

주요내용

경기

(7)

부천시

문제해결형

공공주택지구 내 공공청사 용지 등에 IoT 기반 환경통합플랫폼 구축 및 스마트 환경교육·체험·전시시설을 종합하여설치하고, 생물다양성 보존 및 멸종위기종 보호를 위한 대체 서식지 조성, 온실가스·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공공건축물 녹화 및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

성남시

문제해결형

효율이 저하된 환경 에너지 시설의 운영 문제점을 진단 및 개선하여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고, 거주형태별 폐기물 분리수거를 최적화하여 발생원부터 탄소배출량 저감유도·시티랩 구축을 통한 폐기물 전과정 운영지원

안성시

문제해결형

자원회수시설 내 도시 기후위기 모니터링 및 통합 운영?관리 시스템 구축, 소각시설 에너지(,전기,처리수)를 활용하는 교육?홍보?체험 인프라 구축, 기후생태휴식공간 조성

안양시

문제해결형

자원순환, 환경 모니터링 인프라를 구축하고 안양시 똥골에 에코그린센터 조성을 통한 시민참여 기반 마련으로 스마트 순환경제 인프라 구축

양주시

문제해결형

산업 중심지역 내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최신, 최적의 스마트 관리기술 도입, 디지털트윈 기반(실시간 기후 변화 등 모니터링)의 통합 환경관제 플랫폼 구축 및 스마트 시민환경 소통서비스 실시 등

평택시

문제해결형

하천 인근에 물순환 회복, 수소 그린모빌리티에 의한 비산먼지 제로화, 스마트모니터링 등 시민주도형 환경교육과 더불어 도시숲, 하천 수질개선 사업 등 기후회복 도시 모델 구현

화성시

종합선도형

오염된 시화호의 정화를 목적으로 조성된 비봉습지를 생태공간으로 활성화하고 인근 주거단지에 지하 자원순환 수거시스템도입, 청정대기 구현을 위한 대기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강원

(2)

강원도 등

6개 지자체

문제해결형

군 유휴지를 활용한 기후변화 적응 수자원 통합관리 구축사업, 그린기술 융복합을 통한 한반도 기후변화 완충지대 조성사업 및 환경교육 연계

강릉시

문제해결형

스마트 통합 환경 플랫폼을 통한 도심지 환경오염을 예측하고 오염원을 해결할 수 있는 에코로드 등 생태복원을 통해 생활속 환경의 지속발전가능한 거버넌스 구축

충북

(1)

진천군

문제해결형

산업단지의 공공폐수처리시설 처리수를 재활용하고 수질복원장치를 통해 주거지 인근 저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고 수상식물원 조성으로 생태휴식 공간 조성

충남

(1)

공주시

문제해결형

물순환 및 물재이용을 활성화하여 공주보 상시개방에 따른 지역수자원 부족을 해소하고, 저류된 물을 소방용수, 쿨링로드, 친수 생태휴식 공간 유지용수 등으로 활용하여 쾌적한 도시환경 조성과 시민 삶의 질 향상 도모

전북

(2)

장수군

문제해결형

영농폐기물 스마트 폐기물 플랫폼 구축 및 주민환경공동체, 시스템 운영관리, 스마트 상수도 플랫폼 구축

전주시

종합선도형

산업단지 인근 취약 주거지에 온실가스 및 이상기후로부터의 안전한 녹색 탄소 ICT마을 숲 조성과탄소배출 저감형 스마트 그린마을 조성

 

광역

기초

사업유형

주요내용

전남

(4)

강진군

종합선도형

탐진강 주변 3개 마을 중심으로 친환경 생태수로(물순환 개선) 및 마을 거점녹지 확대, 방치된 매립장을 환경교육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

순천시

문제해결형

구 도심의 고가도로 하부에순천만 상류지역 비점오염 제거를 위한 빗물활용 레인가든, 침투트렌치 등 설치하고 토종식물정원 조성

장흥군

문제해결형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수열에너지 공급시설을 도입하여 공공건물의 그린화를 리드하고, 자연자원 관리를 위한 생태연구 및 복원, 기후변화의 심각성 등 환경교육 지원

해남군

문제해결형

도시재생 사업과 연계한 폐기물 배출 수거 시스템 구축으로 재사용 가능 자원이용률 확대를 위한 재활용품 보상센터 및 나눔공간 마련, 스마트 체험시설 조성 및 공동 텃밭 등 환경공간 정화

경북

(2)

상주시

종합선도형

밀집 주거지 인근 하천변 도로구역에 우수 및 하수 정화 처리수 활용 시스템으로 클린로드, 생태계류, 그린인프라등 물순환 개선, 열섬·미세먼지 저감, 스마트 생태환경 구축, 전기차 충전 인프라 등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한 시설 확충

포항시

문제해결형

철강 산단 인근 주거지에 환경오염 물질 차단 미스트 시스템과 도로와 인도사이 물순환형 띠숲을 조성하여 미세먼지 및 열섬을 예방하고 주거 및 환경취약 계층이 밀집되어 있는도심 내를 자원 재활용의 녹색순환도시로 조성

경남

(2)

김해시

종합선도형

도심 중앙의 방치된 유수지에 스마트 기술활용 수질 관리, 생태복원, LID를 활용한 유수지 스마트 생태복원 사업, 그린라인 네트워크(식생도랑, LID,그린인프라구축), 스마트환경패트롤(악취.미세먼지등 측정 및 스마트알리미)를 실시하여 기후안심 도시 조성

밀양시

문제해결형

도시재생 지역에 쿨링로드, 쿨링포그, 쿨루프, 쿨페이브먼트 등 기후변화 대응인프라 구축과 인공지능 재활용품 수거 자판기, 스마트 자동 압축 쓰레기 수거 등 녹색순환인프라를 도입하고 기후변화 체험 교육 센터 등을 반영

인천

(1)

서구

문제해결형

공유 순환경제 구축을 위해 인프라 구축 및 새활용 환경교육장 운영, 스마트 에코 리싸이클링 센터 등 구축

광주

(1)

동구

문제해결형

쓰레기 문제 해결과 자원순환 문화조성을 위해 주민주도형 쓰레기 신고.수거, 교육.홍보, &업사이클 활동 전과정에 참여, 그린일자리 모델을 구현하고, 마을공간을 기후적응 인프라를 기반으로 기후탄력 회복도시로 전환

부산

(1)

사하구

문제해결형

을숙도 내 기후·생태 교육·체육 공원 및 빗물 재활용시설 조성, 하단유수지 등 일원 비점오염저감, 투수형 보도조성, 장림유수지 오염 환경 개선, 전기차 보급확산을 위한 충전시설 설치, 철새서식지 및 이동경로 스마트 가로등 설치

제주

(1)

-

문제해결형

생활폐기물 발생이 많은 주거지에 쓰레기 중량제 전환 및 참여형 자원순환 사회조성, 용천수 자원활용체계를 통한 물순환 기반 시민참여형 생태공원 조성

 

스마트 그린도시 주요 사업계획 예시

[ 종합선도형 ] 스마트 탄소(C) 그리드 기반팔복숲 Net-Zero 타운조성

 

전주시 최초 산업단지인 탄소국가산업단지의 배후주거지에 탄소섬유와 연계한 탄소중립(Net-Zero) 주거지로 조성한다.

 

이를 통해 오염배출 시설로부터 주거민의 안전한 거주환경탄소숲 등녹색자원을 확보할 수 있고, 스마트 쓰레기배출 시설 등 생활환경 개선추진하여 주민 정주여건을 개선할 계획이다.

 

 

사업구상도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19700001.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73pixel, 세로 547pixel

 

(현 황) 팔복동은 공업시설, 화물교통 등으로부터 생활환경이 노출되어 있고, 공업 중

심의 공공시설과 30년 이상의 노후주택이 대부분이며, 생활인프라 시설과녹지 부족

등으로 타 주거지역에 비해 환경적 불평등을 겪고 있는 지역이다.

 

(주요 사업)주거지에 녹색쉼터와 물순환을 위한 LID시스템을 구축

 

주거지내 ICT 마을보호숲, 생활숲길 및 녹색쉼터를 조성하고 탄소 투수블럭포장

및 빗물저장시설 등을 설치하여 친환경 물순환시스템을 구축

 

주민이 이용하는 공공건축물의 옥상·벽면녹화로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생활쓰레

기 무단배출 방지 및 스마트한 분리배출 등을 통해 환경오염을 예방

[ 종합선도형 ] 북천따라 그린, 스마트 상주

 

상주시 냉림동 및 북천 일원 통행이 많은 주간선도로에 노상전기주자창과 쿨링로드 시설을 설치하고 북천변에는 빗물과 하수를활용한 쿨링포그, 식생체류지 등을 조성한다.

 

환경복지에 소외된 지역 주민에게 생태휴식공간을 제공하는 동시에 친환경 자동차 보급확대 등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이 가능한 녹색 도시로 탈바꿈할 계획이다.

 

 

사업구상도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cf4006b.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67pixel, 세로 3508pixel

 

(현 황) 상주시는 고령화 비율이 높고 폭염, 미세먼지 취약한 도시로서 환경·사회적

 

인 도시환경의 구조적 문제가 절실한 지역이다.

 

(주요 사업)북천변 주간선도로에 기후변화 대응인프라를 종합하여 도입

 

빗물저류조 및 하수재이용수 등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클린로드&쿨링포그를

 

설치하여 도시열섬 저감

 

친환경 전기차 보급확대를 위해 주간선도로 중 보도부를 활용하여 노상 전기자

 

동차 충전소를 설치

 

북천 산책로변 유휴부지를 생태공간으로 조성하고 이와 연계한 식생체류지, 빗물

 

저금통 및 옥상녹화 사업을 시행

[문제해결형] 내가 그린(GREEN) 도시, 강릉

 

지속발전 가능한 스마트 그린도시를 만들기 위해, 스마트 통합 환경플랫폼을 구축한다. 환경정보융합 빅데이터등은 본 플랫폼을 통해 시민에게 제공되고 이는 도시의 생태복원 및 시민 정책참여 기회를 확대한다.

 

이를 통해, 실생활에서도 쉽게 접하고 사용함으로써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고 만들어 가는 그린(GREEN) 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사업구상도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84c2d02.bmp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123pixel, 세로 794pixel

(현 황) 자연재해 및 기후위기에 취약한 공동화된 도심지역을 우선으로 실생활과 밀

접한 생활쓰레기, 악취, 상습침수 등 환경문제로부터의 안전한 삶을 지속할 수 있도

록 스마트한 녹색전환 사업이 필요하다.

 

(주요 사업)환경오염을 예측하고 해결하는 환경통합플랫폼 구축, 생태복원 사업 시행

 

환경측정망 설치, 환경정보융합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GIS기반 환경데이터 제공

하여 환경정보의 접근성과 신속성을 개선

 

도심의 환경오염 해결을 위해 도시 남북을 잇는 생태축을 중심으로 생태복원 환경을

조성하고 주민에게 청정 환경을 제공하여 삶의 질과 만족도를 향상

 

시민, 공공, 지역사회, 교육기관, 산업계 등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리빙랩통해

환경도시 디자인, 환경모니터링, 시민환경 디바이스를 개발

[문제해결형] 순천 장천동 고가 교량 및 청수원(靑水園)

 

인구 이동이 많으나 환경관리가 미흡한 고가도로 하부에 빗물 유출을 최소화하고, 하천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는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해 빗물 저류시설을 설치하고, 수집된 빗물은 도로 비산먼지 제거에 사용하고, 인도변 식물 여과상자를 거쳐 다시 지하로 흡수되는 물 순환형 도시를 조성한다.

또한, 철도방음벽에 수직정원을 조성하고, 인도변에 미세먼지 흡착 효율이 높은 나무를 식재하여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그린인프라를 조성한다.

 

사업구상도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장천동 도면.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601pixel, 세로 1772pixel사진 찍은 날짜: 2020년 11월 26일, 오후 4:02

 

(현 황) 고가도로와 4차선 도로가 인접한 곳에 오래전부터 마을이 형성되었고, 가로

수 식재 등 녹화가 없으며, 중심시가지 진입로로 차량 통행량이 많아 미세먼지 발생

이 많고, 비점오염원으로 인해 동천의 수질이 위협받고 있다.

 

(주요 사업)도시 물환경 개선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인프라 구축

 

고가도로 하부에 우수저류시설과 도로변에 수목여과상자를 조성하여 빗물을

저류하고, 동천으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을 관리

철로 방음벽 및 지하차도 벽면에 수직정원을 조성하여 미세먼지를 흡착하고, 지능

형 클린로드 시스템을 구축하여 미세먼지를 저감

 

2020-12-28

환경부 녹색전환정책과


원본 기사 보기:GECPO-Green News

  • 도배방지 이미지